목록Container (3)
이야기박스

Overview 예전에 쿠버네티스 공부하면서 Container, VM 차이점을 간단하게 짚고 넘어간 적이 있습니다. Kubernetes 1. Introduction # 쿠버네티스 필요한 이유 최근 어플리케이션 개발 트렌드가 변화하였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거대한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이었다면, 요즘 들어서는 "마이크로 서비스"로 세분화되 box0830.tistory.com 오래되기도 하였고 복습할 겸 여러 문서들 보는데 아래와 같은 포스팅도 보여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process, a container, and a VM? Many people ask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a VM and..

지난 포스트에 이어서 이번에는 Pod의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 Pod란? 애플리케이션의 논리 호스트라 볼 수 있습니다. VM과 유사하게 동작하지만 각 프로세스가 컨테이너에 캡슐화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겠습니다. 포드는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지만, 그 컨테이너들은 모두 동일한 워커 노드에서 실행된다는 점을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포드의 필요성 모놀리식 서비스와 마이크로 서비스의 비교를 다시 떠올려보면 좋습니다. 하나의 시스템에 모든 프로세스를 넣어서 동작시키면 유지, 관리, 보수가 어려워집니다. 그러므로 각각의 프로세스를 자체 컨테이너에서 실행하는 게 옳겠죠. 그러려고 컨테이너가 만들어지기도 했고요. 여러 개의 프로세스를 위해 다수의 컨테이너를 생성해야 하다 보니, 이 컨테..

# 쿠버네티스 필요한 이유 최근 어플리케이션 개발 트렌드가 변화하였기 때문입니다. 과거에는 거대한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이었다면, 요즘 들어서는 "마이크로 서비스"로 세분화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인프라도 사설 IDC에서 거대한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모놀리식 방법은 여러 서비스가 단일 OS 환경에서 실행되기 때문에 하나의 개체로 관리(개발, 배포 등)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구조의 단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조금의 변경만 있더라도 전체 어플리케이션을 재배포해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어플리케이션 내 서비스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서 프로그램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렵게 됩니다. 프로그램 자체가 무겁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서버가 필요합니다. Scaling-u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