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박스

인공지능) Behavior authoring2 본문

Computer & Data/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 Behavior authoring2

박스님 2017. 10. 17. 12:16
반응형

Decesion Tree & Behavior Tree

Behavior Tree 중점으로 공부


§ Behavior Trees

: 이해하기 쉬움!

Task(node)로 구성 --> success / failure

- Condition    - leaf node

- Action        - leaf node

- Composite    - Internal node


○ Condition : 상태 체크 노드

○ Action : 캐릭터의 액션과 같은 모든 액션, 대부분 success

○ Composite : Condition-Action 조합

- Sequence : 순차적으로 실행. 하나라도 실패하면 종료

- Selector : 자식노드가 성공할 때까지(하나라도). 자식 노드가 모두 실패하면 실패

* 더 있지만, 두 가지만 우선 다룸


○ 예제

- 문제


- 답





○ Decoraters

- Composite의 Special case라 생각하면 됨

- 자식이 하나


- Repeat(N) : N번 반복

- UntilFail : 실패 할때까지 반복

- Filter, Inverter, Semaphore 등..




** 비교

FSM : 상태 단위

Behavior Tree : 행동 단위

반응형

'Computer & Data > Artificial Intellig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 Pathfinding2  (0) 2017.10.17
인공지능) Pathfinding  (0) 2017.10.17
인공지능) Tree search2  (0) 2017.10.17
인공지능) Tree search  (0) 2017.10.17
인공지능) Behavior authoring  (0) 2017.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