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09)
이야기박스
쿠버네티스에서 제공하는 REST API 서비스에 https 통신을 제공하기 위하여 Ingress와 SSL 설정에 대한 기술 조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간략한 기술 소개 및 yaml 파일 예시를 소개하려고 합니다. # Ingress란? Ingress (명사) - 가거나 들어가는 행위; 들어갈 수 있는 권리; (어떤 장소에) 들어감; 입장권 보통 ingress는 서버 내부로 유입되는 트래픽을 나타내고 egress는 서버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Kubernetes Ingress는 외부에서 Kubernetes Service 및 다른 Resource에 접근하기 위한 게이트웨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Ingress가 필요한 이유 하나의 공인된 주소로 다양한 서비스에 포워딩될 수 있음 ..
아래 형식으로 작성 - 아침 : 사과1, 야채쥬스1 - 점심 : 빵 - 저녁 : 샐러드
# 개요 maven을 통한 개발을 진행하는 도중 아래와 같은 에러로그가 발생하였습니다. java.lang.NoSuchMethodError: com.google.common.io.ByteStreams.exhaust(Ljava/io/InputStream;)J 알아보니 위 패키지는 guava에 포함되는 패키지이고 라이브러리 충돌로 인해 자주 발생하는 이슈였습니다. Stackoverflow Reference java.lang.NoSuchMethodError: com.google.common.io.Closeables.closeQuietly(Ljava/io/Closeable;)V I am new to selenium.I am getting some issues while using Selenium WebDriver..
# Overview Helm이란 Helm2 --> Helm3 바뀐 점 Helm3 사용법 # Helm이란 간단한 애플리케이션이라도 Kubernetes로 구성하다 보면 수많은 yaml 파일이 생겨나게 됩니다. helm은 이렇게 많이 생겨나는 yaml 파일을 간편하게 배포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또한 Kubernetes의 주 목적인 다양한 환경(클러스터)에서 간단한 설정의 변경만 가지고도 배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진 Helm은 Template, 설정 파일 등의 파일의 모음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 파일 모음을 Helm Chart라고 부릅니다. # Change since Helm2 Helm Docs Reference Frequently Asked Questions Frequently As..
CNCF에서 주관하는 Kubernetes Forum Seoul, 2019를 다녀왔습니다. 무려 150$이나 하는 비싼 포럼이기 때문에 더 집중해서 듣고 오게 된 것 같습니다 ㅎㅎ 포럼은 용산, 드래곤시티 호텔에서 열렸습니다. 현장 분위기 등록을 하고나면 바로 옆에서 등록증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스티커, 성 정체성을 존중하는 젠더 스티커가 있었습니다. 키노트 이후에 간단한 다과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습니다. 각종 쿠버네티스 부스를 보면서 즐길 수 있었습니다 ㅎㅎ 아래는 제가 들은 트랙에 대한 가벼운 정리입니다. Track 1. How To Debug The Pod Which Is Hard To Debug 발표자: 카카오 이어형 방법 1. Ephemeral Co..
# 개요 쿠버네티스는 CPU 사용량 또는 다른 항목들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토대로 오토스케일링이 가능합니다. 오토 스케일링 기능은 v1.6에서 v1.7로 넘어가면서 큰 개편이 있엇다고 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HPA ; HorizontalPodAutoScaler 쿠버네티스는 HPA라는 리소스를 만들어 포드의 수펑젹 오토 스케일링을 진행합니다.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스케일된 리소스 객체가 관리하는 모든 리소스의 메트릭을 수집 지정된 Target에 맞출 수 있는 Pod 수를 계산 계산된 결과 값을 Replicas 필드에 업데이트 1. 포드 메트릭 가져오기 쿠버네티스의 MetricServer(과거에는 Heapster)에게 RestAPI를 요청하여 메트릭을 획득합니다. 2. 필요한 포드 수 계산 사용..
# 개요 Kubernetes의 Pod 컨테이너에서 top을 실행하면, Pod의 메모리가 아닌 노드 전체의 메모리를 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Kubernetes 환경에서 자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때는 Memory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어져야 합니다. 참조. 포드의 리소스 관리 Kubernetes. 포드의 계산 리소스 관리 # 개요 Resource Request & Limit Pod의 request / limit QoS (우선순위) 플러그인 (LimitRange, ResourceQuota) 모니터링 # 포드 컨테이너의 리소스 요청 포드의 리소스 request(최소) & limit(최대)은 컨테이너.. box0830.tistory.com 이번 포스트는 Spring Boot 앱을 개발할 일이 있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