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박스

우주론 - 밀도와 적색편이와의 관계2 본문

Other Fields/AstroPhisics

우주론 - 밀도와 적색편이와의 관계2

박스님 2016. 4. 26. 21:54
반응형

어느 입자들에서 보더라도 임계밀도. Critical density는 동일할 것이다.


임계밀도의 유도는 프리드만방정식에서 k=0. 편평우주의 가정에서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임계밀도는




이 된다.



그리고 앞의 글에서 언급했듯이.


각 입자들의 밀도는




인데 중요한점은


각 입자들의 현재밀도는 모두 다르다는것이다.


당연히 물질, 상대론적입자. 암흑에너지의 밀도분포는 각각 다르다.


이 당연한 것을 지난번 글을 쓸때는 생각해내지 못하였다.


그럼 각 변수들의 현재밀도는 어떠할까?







일단 첫번째!


암흑물질은 너무나 쉽다.


암흑물질은 " 현재밀도 = 과거 언제나의 밀도 " 가 성립하게 된다.


왜냐하면 상태방정식에 의해 암흑물질은 w=-1을 대입하게되면 현재밀도와 로우(z)가 같게 된다.


즉 암흑물질의 밀도는 적색편이 z에 관계없이 상수로 일정하다.





두 번째!


물질밀도의 현재밀도는 WMAP 데이터에 나와있다.


현재 물질밀도는 2.56 * 10^-27 kg/m^3 이다.






세 번째!


상대론적 입자의 현재밀도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내가 가지고 있는 책에도 없고 내 허접한 구글링 실력으로는 상대론적입자의 현재밀도를 찾지 못하겠다.


그래서 한 단계 건너서 구하겠다.


다행히 내가 가진 교재는 상대론적 밀도변수의 현재값이 있다.


이 식을 이용하면.





이므로


현재 상대론적 밀도의 값은.




가 된다.



보면 현재 상대론적 입자들의 밀도가 현재 우주밀도에 비해 얼마나 작은가 볼 수 있다.









이제 현재밀도를 모두 알아봤다.


그렇다면 과거 우주의 밀도는 어떠할까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암흑에너지의 밀도는 항상 일정하므로 제외하고 생각해보자.


각 시간대의 우주에서의 밀도들의 비율.(물질과 상대론적입자) 를 P라 하면. (percentage)






가 되겠다.


간략적인 그래프의 모양을 생각해보자.


일단 P의 합은 1이 될것이다.



그리고 적색편이 z의 값이 커질수록 P_matter의 값에 비해 P_rel 의 값이 커지게 될 것을 우리는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그 비율은





즉. 특정시간의 적색편이 z에서의 상대론적밀도에 대한 물질밀도의 비율은 시간이 지날수록(적색편이가 커질수록~과거우주로 갈수록) 1/1+z 의 비율로 감소한다. 






반대로 상대론적밀도의 물질밀도에 대한 비율은 현재우주로 다가올수록 감소하게 된다. 




결론. 초기우주에는 (z가 클때)는 상대론적 입자가 우세하였고 현대로 올 수록 물질입자가 우세해졌다.


적색편이가 아니 시간t라고 생각한다면


초기우주의 시간을 t=0이라고 가정.


그렇다면 시간이 무한대에 가깝게 흘러가게되면. 갑작스러운 변수가 생기지 않는한


상대론적입자는 결국 모두 사라지게 될 것이다.

반응형